이미지 확대보기왼쪽 위부터 시계 방향으로 엔씨소프트 '리니지2M', 넥슨 '퍼스트 버서커: 카잔'과 '더 파이널스', 시프트업 '승리의 여신: 니케'. 사진=텐센트, 각 사
텐센트가 자체 게임 쇼케이스 '스파크 2025'를 개최했다. 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엔씨소프트와 넥슨, 시프트업 등 국내 기업 신작들이 대거 주요 차기작으로 소개됐다.
스파크 2025는 중국 현지 영상 매체들을 통해 지난 22일 온라인으로 진행됐다. 텐센트 자체 개발작, 텐센트의 투자를 유치한 중국내외 기업들의 신작과 텐센트가 중국 내 퍼블리싱을 맡은 파트너사 개발작 등 3종으로 나누어 40종 이상 게임들의 프로모션 영상과 관련 정보 등을 공개하는 형태로 진행됐다.
텐센트의 국내 주요 파트너로 꼽히는 넥슨에선 '퍼스트 버서커: 카잔'과 '더 파이널스' 두 게임이 신작으로 소개됐다.
퍼스트 버서커: 카잔은 중국에서 국민 게임으로 대접받는 '던전 앤 파이터(던파)' IP의 파생작이다. 장르는 액션 RPG로, 지난해 중국 현지에서 액션 RPG '검은신화: 오공'가 큰 인기를 끈 만큼 흥행을 이어받을 가능성이 높다는 평을 받고 있다.
더 파이널스는 넥슨의 유럽 자회사 엠바크 스튜디오가 2023년 12월 데뷔작으로 선보였던 게임이다. 지형이 대규모로 무너지는 등 호쾌한 타격감을 자랑하는 슈팅 게임으로 초반 인기를 끈 만큼 이 역시 흥행을 기대할 만하다.
지난해 10월 중국 국가신문출판서의 출판심사번호(판호)를 취득한 엔씨소프트의 '리니지2M', 시프트업 '승리의 여신: 니케'도 이번 쇼케이스를 통해 소개됐다. 두 게임 모두 모바일 게임으로 현지 플랫폼에서 사전 등록을 받고 있다.
리니지2M은 엔씨의 '모바일 리니지' 시리즈 중 처음으로 중국 현지에 공개된다. 텐센트는 리니지2M의 원작 '리니지2'의 현지 배급 또한 맡았던 만큼 그 노하우를 적극 활용할 전망이다.
승리의 여신: 니케는 글로벌 퍼블리싱을 텐센트 산하 레벨 인피니트에서 맡고 있다. 일본을 중심으로 글로벌 흥행했던 만큼 현지에서도 높은 성과가 기대된다.
신작 4종 외에도 텐센트는 넥슨 '메이플스토리M', 스마일게이트의 '크로스파이어' 시리즈, 크래프톤 '배틀그라운드'를 원작으로 한 '화평정영' 등 기출시작 관련 정보들도 소개했다.
텐센트는 지난해 스파크 2024에서도 한국 파트너들의 게임을 대거 소개했다. 넥슨의 '던파 모바일'과 '메이플스토리M', 엔씨 '블레이드 앤 소울 2', 스마일게이트 '로스트아크' 등 앞서 언급한 파트너 외에도 펄어비스 '검은사막', 데브시스터즈 '쿠키런: 킹덤' 등도 당시 쇼케이스에 포함됐다.
중국 정부는 최근 들어 꾸준히 국산 게임에도 판호를 발급하고 있다. 앞서 언급한 리니지2M, 니케 외에도 지난해 12월 넷마블 '세븐나이츠 키우기', 그라비티 '라그나로크 리버스', 님블뉴런 '이터널 리턴'이 판호를 취득했다.